1969. 10 |
제10회 전국 민속 예술경연 대회 대통령상 수상 |
1970. 07. 22 |
고싸움 놀이 중요 무형문화재 제33호 지정(문화재청) |
1970. 07. 22 |
이판동, 이순옥, 이몽학 고싸움놀이 기능보유자 인정 |
1970. 10 |
제11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시연 |
1971. 02 |
고싸움놀이 전승을 위한 「 전남 민속놀이 진흥회」발족 |
1972. 09 |
남도문화제 참여 시연 |
1973. 09 |
남도문화제 참여 시연 |
1973. 05 ~ 1983. 10 |
전남대학교 용봉축제 10회 참가 시연 |
1973. 10 |
제14회 전국민속예술경영대회 시연 |
1974. 10 |
제15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시연 |
1974. 10 |
호남예술제 시연 |
1975. 01 |
광복 30주년 기념행사 참가 |
1977. 09 |
남도문화제 참여 시연 |
1977. 10 |
제18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시연 |
1978. 10 |
남도문화제 참여 시연 |
1979. 08 |
칠석동 은행나무 시도 기념물(제10호) 지정 |
1980. 12 |
전통문화예술 창조적 계승발전 대회 시연 |
1981. 04 |
광산군 군민의 날 행사 참여 |
1981. 09 |
국풍 81 시연 |
1981. 09 |
열전 팔도 시연 |
1982. 10 |
제23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시연 |
1983. 10 |
제13회 남도예술경연대회 시연 |
1983. 11 |
제1회 고싸움놀이 축제 |
1983. 11 |
농어민 후계자 대회 시연 |
1984. 04 |
88올림픽 고속도로 완공식 행사 시연 |
1984. 04 |
제2회 고싸움 놀이 축제 |
1984. 05 |
영호남 체육대회 시연 |
1984. 10 |
진주 개천 예술제 시연 |
1985. 04 |
제3회 고싸움놀이 축제 |
1986. 03 |
고싸움 놀이 보존회 발족 |
1986. 04 |
제4회 고싸움놀이 축제 |
1986. 09 |
서울 아시안게임 식전행사 시연 |
1987. 01 |
이인식 고싸움놀이 기능 보유자 인정 |
1987. 04 |
제5회 고싸움놀이 축제 |
1987. 12 |
고싸움 전수관 준공 |
1988. 04 |
제6회 고싸움놀이 축제 |
1988. 09 |
제24회 서울올림픽 식후 공개행사 시연 |
1989. 03 |
제7회 고싸움놀이 축제 |
1990. 03 |
제8회 고싸움놀이 축제 |
1990. 11 |
부용정 광주광역시 문화재 자료 제13호 지정 |
1991. 03 |
제9회 고싸움놀이 축제 |
1992. 03 |
제10회 고싸움놀이 축제 |
1992. 08 |
세계 대학생 문화체전 시연 |
1993. 02 |
제11회 고싸움놀이 축제 |
1994. 03 |
제12회 고싸움놀이 축제 |
1994. 11 |
광주 시민의 날 행사 시연 |
1995. 03 |
제13회 고싸움놀이 축제 |
1995. 09 |
제1회 광주 비엔날레 기념행사 시연 |
1995. 11 |
광주 시민의 날 행사 시연 |
1996. 03 |
제14회 고싸움놀이 축제 |
1996. 08 |
전라남도 개도 100주년 기념행사 시연 |
1996. 11 |
광주 시민의 날 행사 시연 |
1997. 03 |
제15회 고싸움놀이 축제 |
1998. 02 |
제16회 고싸움놀이 축제 |
1998. 02 |
제15대 김대중 대통령 취임식 의장행렬 참가 |
1999. 02 |
제17회 고싸움놀이 축제 |